내가쓴글
-
스타트업에서 개발하기 - 2. 회사를 떠난 이유내가쓴글/개발 2023. 7. 16. 22:13
1편은 필자가 다니던 스타트업에 한창 불만이 많았을 시기에 작성했던 글이다. 그래서 약간 부정적인 면으로 치우쳐 있기도 하고, 실제로 필자가 다녔던 스타트업은 그리 좋은 곳은 못되었기 때문에 독자들의 오해를 살까 조금 걱정도 했다. 비록 업로드는 아주 최근에야 했지만, 실제로 1편을 작성한지 어느덧 2년이 흘렀다. 스타트업을 떠나면서, 그리고 지금까지, 필자가 무엇을 원했는지 고민했던 것들을 바탕으로, 이번 글에서는 스타트업에서 진정으로 원했던 게 무엇인지, 왜 퇴사를 결심했는지를 말햅고자 한다. (1편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스타트업에서 개발하기 - 1. 스타트업은 사실… 머리말 2020년 10월 부터 2020년 12월 초까지 tvN에서 “스타트업”이라는 드라마를 방영했다. 한창 스타트..
-
[Django] DRF의 Serializer 성능 개선하기내가쓴글/개발 2023. 7. 11. 20:00
머리말Django를 이용해 백엔드를 개발하게 되면, 편의를 위해 Django Rest Framework(이하 DRF)를 사용해 API개발을 하게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러나.. DRF 관련 글들을 찾아보면 성능과 관련된 부정적인 단어들을 굉장히 쉽게 접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필자가 DRF를 이용해 개발하면서 가장 체감이 심했던 성능저하 이슈는 무엇이었는지, 어떤 고민들을 했는지, 또 결국 어떻게 해결했는지, 또 다른 어떤 이슈들이 있을지를 공유하고자 한다. (첫 글이니만큼 문체나 내용이 다소 어색할 수 있는점 양해바란다..) 필자는 Django 프로젝트 개발에 합류했을때가 Django 개발의 처음이었고, 이미 DRF가 적용되어 있어서 별다른 고민 없이 개발을 했던 것 같다. 덕분에 성능 저하가 ..
-
[Django] Proxy Model 사용하기내가쓴글/개발 2023. 7. 11. 19:00
머리말최근 Django로 구현된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전반적인 DB 설계를 리팩토링 하면서, 구현 자체도 새롭게 해야할 부분이 많아서 전체 프로젝트를 재구성하고 있다. 그 와중에 가장 최근 production에서 사용 중인 비즈니스 로직의 업데이트를 하면서 "이미 적용되어 있었다면 정말 편하고 좋았을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던 Proxy Model에 대한 설명을 적어보고자 한다. Proxy Model 외에도 그런 생각이 든 것들이 정말 많다ㅠㅠ 나중에 리팩토링이 끝난다면,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하면서 더 작성해보고 싶다. TLDR;type 값으로 특징(비즈니스 로직)이 구분되는 Model의 경우 Meta.proxy = True 옵션을 사용하면, 모델에 대한 설계를 더 명확히 할 수 있고, 나중에 해..
-
스타트업에서 개발하기 - 1. 스타트업은 사실…내가쓴글/개발 2023. 7. 10. 18:00
머리말 2020년 10월 부터 2020년 12월 초까지 tvN에서 “스타트업”이라는 드라마를 방영했다. 한창 스타트업을 다니던 나는, 부대표님의 너무 현실성 없더라. 나는 스타트업 업계에 현실에 대해 잘 아니까.. 라는 말을 들으며, 그래도 어떤 스타트업들은 다를 수도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했다. 우리 회사가 그렇지 못하다고, 다른 회사들도 다 그렇진 않을테니까, 나도 그런 드라마속 환상을 가지고 있었으니까. 그럼에도 내가 남도산이 아니기에, 우리 회사가 삼산텍이 아니고, 대표님이 수지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은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다.😂 남도산이라는 스타플레이어의 활약으로 인공지능 스타트업인 삼산텍이 성공하는 스토리는 개인적으로 흥미롭게 느껴지는 이야기였고, 시청률도 나쁘지 않게 나왔던 걸로 기억한다..